최근 개신교 내에서 발생한 다양한 부패와 비리 사건, 특히 다락방 사건은 단순히 일부 지도자의 잘못으로 치부할 수 없는 심각한 구조적 문제를 드러냅니다. 많은 개신교 단체는 이러한 문제가 발생할 때마다 책임을 해당 지도자에게 전가하고, 조직의 본질적인 문제를 회피하려는 경향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는 결국 "개신교는 사이비"라는 비판을 피하기 위한 일종의 방어 기제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책임 전가는 전체 개신교의 타락을 외면하게 하며, 결국 아무도 책임지지 않는 상황을 초래합니다.
1. 책임 전가의 메커니즘
개신교 내에서 종교적 부패가 드러날 때마다 반복되는 패턴은 다음과 같습니다. 먼저, 문제가 발생하면 특정 지도자 한두 명을 비난하며 이를 "개인의 타락"으로 치부합니다. 다음으로, "우리 교단이나 본 조직과는 무관하다"고 선을 그어 조직의 체계적 문제를 무시합니다. 마지막으로, 특정 지도자만을 제거하고 나머지 시스템은 유지하며 책임 회피를 시도합니다. 이러한 방식은 구조적 문제를 감추고, 반복적인 부패를 초래하는 요소를 은폐하게 만듭니다.
2. 문제의 본질: 투명성 결여
다락방 사례를 통해 드러난 문제는 단순히 일부 지도자들의 타락에 그치지 않습니다. 개신교 조직 전반에 깔린 몇 가지 구조적 문제가 본질적인 원인으로 지적될 수 있습니다. 첫째, 지도자를 "하나님의 대리자"로 신격화함으로써 내부 비판과 견제를 차단하는 구조가 형성되었습니다. 둘째, 재정 관리와 의사 결정 과정에서 투명성이 결여되어 있어 부패가 쉽게 발생합니다. 셋째, 신앙보다는 숫자와 헌금, 건물 확장을 우선시하는 경향이 나타나며, 이는 종교의 본질을 왜곡합니다.
3. 개신교가 나아가야 할 방향
개신교가 사이비 비판을 피하기 위해서는 구조적 개혁이 필요합니다. 문제를 특정 개인의 책임으로 돌리는 대신, 권위주의적 리더십과 불투명한 운영 방식을 혁신해야 합니다. 민주적 운영 구조를 도입하고 외부의 견제와 감시를 받을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하는 것이 시급합니다. 또한, 신도들에게 비판적 사고와 윤리적 판단을 가르쳐야 하며, 지도자를 신격화하는 구조는 폐기되어야 합니다.
4. 개신교에 던지는 질문
개신교는 스스로에게 다음과 같은 질문을 던져야 합니다. 우리 조직은 진정으로 투명하고 공정하게 운영되고 있는가? 지도자들에게 비판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어 있는가? 신앙의 이름으로 행해지는 권력 남용과 비리를 막을 시스템이 존재하는가? 이러한 질문에 대한 답변이 없다면, 개신교는 "사이비"라는 비판을 피할 수 없을 것입니다.
개신교는 종교가 가져야 할 희망과 도덕성을 상징해야 합니다. 그러나 책임 전가와 문제 회피로 일관한다면, 신도와 대중의 신뢰를 잃고 스스로를 사이비로 몰아가는 길을 걷게 될 것입니다. 지금이야말로 개신교가 진정한 자성과 개혁의 길로 나아가야 할 때입니다. 비판적 시각을 유지하며 건강한 종교 공동체를 만들어 나가야 할 필요성이 더욱 절실해지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