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종교와 정치의 경계에서 묵인된 신앙의 자유

 

최근 가톨릭 교회와 중국 간의 주교 임명 합의가 다시 연장되었다. 이는 겉으로는 외교적 진전을 이루었다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을 수 있겠지만, 그 내면에는 종교의 독립성과 신앙의 자유에 심각한 의문을 제기하게 만든다. 가톨릭 교회와 중국 정부의 협상이 수년간 이어져 왔고, 교황청은 존중과 대화를 표방하며 중국과의 관계를 관리해 왔다. 그러나 이번 합의는 과연 교회와 국가가 평등하게 협력하는 것이며, 신앙의 자유가 보장되는 방식인지, 그 이면을 들여다보면 의문이 생긴다.

 

 

주교는 가톨릭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종교 지도자다. 그들의 임명은 신앙적, 도덕적 판단에 기반해 교회가 결정해야 할 문제다. 하지만 이번 합의로 인해 중국 가톨릭 주교는 국가의 승인을 받아야만 임명될 수 있게 되었다. 수십 년간 지하 교회에서 신앙을 지켜 온 중국 내 신자들에게는 이 상황이 배신처럼 느껴질 수 있다. 이들은 중국 정부의 감시와 탄압 속에서도 신앙을 지키기 위해 필사적으로 싸워 왔다. 그러나 이제는 정부의 승인을 받아야만 그들 위에 세워진 지도자 아래에서 신앙 생활을 이어가야 한다. 이는 종교적 자유가 단순히 종이 위에만 남은 선언에 그치는 것이 아닌가 하는 불안을 낳는다.

 

프란치스코 교황이 이 문제에 대해 적극적인 입장을 보이지 않고 있는 점은 더욱 실망스럽다. 교회는 신앙의 독립성과 자율성을 지키기 위해 정치적 압력에 타협하지 않는다는 명확한 입장을 가져야 한다. 하지만 이번 협력은 교회가 사실상 중국 정부의 요구에 타협하고, 주교 임명에 있어 국가의 통제를 묵인한 결과처럼 보인다. 이로 인해 교회의 독립성은 흔들리고, 종교의 본질적인 가치가 약화될 위기에 처한 것이다.

 

이 문제는 비단 가톨릭과 중국만의 사례가 아니다. 사우디아라비아나 이란과 같은 이슬람 국가들에서는 종교 지도자가 국가 권력을 행사하고 있으며, 종교와 정치가 철저히 결합된 상태다. 이들 국가에서는 종교가 국가의 필요에 따라 조정되며, 독립적인 종교 활동보다는 국가의 통제를 우선시한다. 중국에서의 이번 사례는 가톨릭 교회마저도 그러한 흐름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는 것을 시사한다.

 

종교는 원래 정치적 필요나 국가의 압력과 독립된 가치로 존중받아야 한다. 종교는 신앙을 통해 도덕적 기준을 제시하고, 사람들에게 영적인 가르침을 주는 고유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이번 합의를 보면, 종교가 정치적 도구로 전락하는 현실이 다시금 드러났다. 신앙의 자유는 더 이상 자유로이 행사될 수 없는 현실이며, 주교 임명조차도 교회의 독립적 결정이 아닌 국가의 승인을 받아야 가능한 일이 되어버렸다. 프란치스코 교황이 이에 대해 침묵하며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는 모습은 많은 신자들에게 실망을 안기고 있다.

 

정치적 타협 속에서 종교의 본질이 왜곡되고, 신자들은 그 결과를 감내해야만 하는 상황이 됐다. 이쯤 되면 "종교 지도자를 국가가 임명한다"는 말은 더 이상 웃어넘길 농담이 아니라, 종교의 독립성과 자유가 위협받고 있음을 상기시키는 현실적인 경고다. 지금의 상황에서 종교의 독립성과 신앙의 자유는 어디로 사라졌는가. 종교의 본질이 무엇인지, 다시금 깊이 고민해봐야 할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