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프란치스코 교황이 주도한 바티칸-중국 간 ‘주교 임명 협약’이 체결된 이후, 중국 내 가톨릭 공동체가 심각한 위기를 맞고 있다. 바티칸은 협약을 통해 중국 정부와의 관계 개선을 시도했다고 주장했지만, 실제로는 종교적 자유의 후퇴와 신자들의 탄압이 심화되는 결과를 낳았다. 특히 중국 공산당은 협약을 이용해 가톨릭 교회를 더욱 철저히 통제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교황의 침묵이 국제 사회에서 논란이 되고 있다.
바티칸-중국 협약: 신앙의 자유를 희생한 정치적 타협
해당 협약의 핵심 내용은 중국 공산당이 주교를 추천하고, 교황이 이를 승인하는 구조다. 바티칸은 이를 통해 중국 내 가톨릭 신자들의 종교적 자유를 보장하려 했다고 설명했지만, 현실은 정반대로 흘렀다. 중국 정부는 협약을 명분 삼아 지하 교회를 탄압하는 데 활용했으며, 교황청은 이에 대해 어떠한 공식적인 반대 목소리도 내지 않고 있다.
실제로 협약 이후 임명된 주교 중 일부는 신학적 자격이 부족하거나 도덕적 문제가 있는 인물들로 평가받고 있다. 일부 주교는 부정부패 및 부적절한 행실로 논란이 되었으며, 이는 가톨릭 교회의 전통적 가치와 교리에 정면으로 배치되는 결정이었다.
지하 교회의 탄압과 신자들의 절망
바티칸-중국 협약 이후, 중국 당국은 가톨릭 지하 교회에 대한 압박을 더욱 강화했다. 협약 이전에도 정부의 승인을 받지 않은 신자들은 탄압을 받아왔지만, 협약 체결 이후 상황은 더 악화되었다.
중국 허난성의 류 취안파(Liu Quanfa) 신부는 협약 이후 극심한 감시와 이동 제한을 받았으며, 그의 교구는 강제 폐쇄되었다. 정부가 지정한 성직자가 이를 대신하도록 했고, 이에 대해 신자들은 "바티칸이 우리를 버렸다"는 절망감을 표출하고 있다. 종교의 자유를 보장하기 위한 협약이 오히려 종교 탄압의 도구가 되어버린 것이다.
홍콩 민주화 운동과 바티칸의 침묵
2019년 홍콩 민주화 운동이 중국 정부의 강경 탄압으로 이어지는 동안, 홍콩의 요셉 젠(Joseph Zen) 추기경은 교황에게 공개적인 입장 표명을 요청했다. 그러나 프란치스코 교황은 이에 대한 언급을 회피하며, 중국 정부를 자극하지 않으려는 태도를 보였다.
젠 추기경은 "프란치스코 교황은 중국 공산당의 본성을 이해하지 못하며, 지하 교회를 배신했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홍콩의 가톨릭 신자들은 교황이 인권과 정의를 위해 목소리를 내줄 것을 기대했으나, 바티칸은 침묵을 유지하며 오히려 중국 정부의 편에 선 듯한 모습을 보였다.
협약 추진 과정과 도덕적 논란
바티칸-중국 협약은 추진 과정에서도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협약의 핵심 중재자로 알려진 테오도어 맥캐릭(Theodore McCarrick) 추기경은 이후 성범죄와 부패 혐의로 사임했으며, 이는 협약의 정당성에도 의문을 제기하게 만들었다.
맥캐릭 추기경은 오랫동안 성범죄 의혹에 휩싸였으며, 그가 협약 체결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점은 바티칸의 도덕적 기준에 심각한 타격을 주었다. 도덕적 정당성이 결여된 협약이 결국 종교적 자유를 보장하기는커녕 정치적 도구로 활용되었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고 있다.
공산주의와의 타협, 종교의 본질을 훼손하다
가톨릭 교회는 오랜 역사 동안 자유와 정의를 위한 목소리를 내왔다. 그러나 프란치스코 교황은 중국 공산당과의 타협을 통해 이러한 전통을 스스로 훼손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1937년 비오 11세 교황은 공산주의를 "잔인하고 뻔뻔스러운 허위의 메시아 사상"이라 규정하며 그 위험성을 경고한 바 있다. 그러나 오늘날 바티칸은 오히려 공산주의 정권과의 타협을 선택하며 신자들의 희생을 외면하고 있다. 중국 정부는 성경의 내용을 공산당 이념에 맞게 수정하려는 시도를 하며, 18세 미만 청소년들의 종교 활동을 금지하는 등 종교적 자유를 심각하게 억압하고 있다. 하지만 이에 대한 교황의 반응은 철저한 침묵뿐이었다.
정의와 인권을 외면한 바티칸, 교황의 역할은 무엇인가?
프란치스코 교황의 중국 정책은 신앙의 자유를 정치적 거래의 대상으로 삼았다는 점에서 큰 논란을 낳고 있다. 종교가 사회에 줄 수 있는 가장 중요한 가치인 자유와 정의를 희생하면서까지 정치적 관계를 유지하려는 행보는 바티칸의 도덕적 리더십을 훼손시키고 있다.
중국 내 탄압받는 가톨릭 신자들, 홍콩의 민주화 운동가들, 그리고 전 세계의 가톨릭 신자들은 교황이 정의와 인권을 위해 목소리를 내줄 것을 기대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바티칸은 이러한 기대에 응답하지 않고 있으며, 계속되는 침묵은 신자들에게 깊은 실망을 안겨주고 있다. 교황의 침묵은 단순한 외교적 고려인가, 아니면 신이 그에게 아무런 응답을 하지 않는 것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