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국민적 비극 앞에 드러난 종교의 민낯 : 공적 역할 상실과 사이비화의 위험

 

국가적 비극은 단지 슬픔과 상처를 넘어, 사회가 연대하고 미래로 나아갈 계기가 되어야 합니다. 세월호 참사, 이태원 10.29 참사, 제주항공 참사와 같은 사건은 우리에게 비극 속에서의 연대와 공감을 요구했습니다. 그러나 일부 개신교 지도자들의 발언과 태도는 이러한 기대를 배신하며, 사회적 갈등과 혼란을 부추기는 결과를 초래했습니다. 그들이 보여준 태도는 단순한 실수가 아니라, 종교가 공적 역할을 상실하고 왜곡될 수 있다는 경고를 던져줍니다.

 

 

비극을 신학적 도구로 활용하는 위험성

 

세월호 참사 당시 일부 목회자들의 발언은 국민적 충격을 가중시켰습니다. “하나님이 나라에 경고를 주기 위해 학생들을 희생시켰다는 발언은 희생자와 그 가족, 그리고 국민의 상처를 외면한 채, 종교적 신념을 사회적 비극에 투영하려는 태도를 드러냈습니다. 이는 종교가 위로와 연대를 제공해야 한다는 본질적 역할을 정면으로 부정한 행동이었습니다.

 

이태원 10.29 참사에서도 유사한 사례가 반복되었습니다. 핼러윈을 귀신과 연결짓고 희생자들을 타락한 문화의 결과로 비난한 전도사의 발언은 참사의 본질을 왜곡하며, 비극의 책임을 희생자들에게 돌리는 모습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태도는 국민적 공감과 연대의 필요성을 심각하게 훼손했습니다.

 

종교의 정치화와 비극의 도구화

 

제주항공 참사에 대한 일부 개신교 지도자들의 발언은 종교적 해석을 넘어 정치적 의도를 드러냈습니다. “좌파와 주사파 문화가 이런 참사를 초래했다는 주장처럼 비극을 특정 정치 세력과 연결하려는 시도는 구조적 문제 해결을 방해하고, 사회적 분열을 심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합니다.

 

이러한 발언들은 비극을 공적 책임의 문제로 접근하기보다는, 종교적·정치적 입장을 강화하는 도구로 전락시키고 있습니다. 이는 단지 종교 지도자의 개인적 실수가 아니라, 종교의 사이비화를 드러내는 근본적 징후입니다.

 

종교의 공적 역할 회복과 사회적 책임

 

종교는 본래 사랑과 연대, 치유를 통해 사회적 갈등을 해소하고 공동체를 강화하는 데 기여해야 합니다. 그러나 일부 개신교 지도자들의 행태는 이러한 본질적 역할을 망각한 채, 국민적 비극을 신학적·정치적 수단으로 변질시키고 있습니다. 이는 종교가 사회적 신뢰를 잃는 가장 큰 이유 중 하나로 작용하며, 종교 자체의 정당성을 약화시킵니다.

 

비극을 직면하는 태도는 종교의 진정성을 가늠하는 잣대가 될 수 있습니다. 국민은 비극 앞에서 공감과 연대, 책임감을 가진 종교를 기대합니다. 이러한 기대를 저버리는 종교적 행태는 더 이상 방치되어서는 안 됩니다. 이제 종교는 본래의 역할을 되찾고, 진정성을 회복하기 위해 반성하고 변화해야 할 시점에 서 있습니다.

 

 

종교가 공적 역할을 상실하고 비극을 왜곡하는 순간, 그 자체로 사이비화의 위험에 직면하게 됩니다. 국민적 비극은 종교의 진정성을 시험하는 계기이며, 이를 외면하는 종교는 더 이상 사회적 신뢰를 받을 자격이 없습니다.